배부자25년간 배당 성장시킨 기업들

2025년 금융소득종합과세 계산기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의 세금 부담부터 건강보험료 변동까지 한 번에 확인하세요

소득 정보 입력 (세전, 연간)

만원
만원
만원
만원

근로소득 입력 시 '직장가입자'로 자동 설정됩니다. 실제와 다를 경우 직접 선택해주세요.

📊

계산 결과 요약

소득 정보를 입력하고 계산하기 버튼을 눌러주세요

금융소득종합과세, 아는 만큼 절세합니다

배당 투자를 통해 월 100만원, 200만원의 현금 흐름이 생기면 투자의 재미를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연간 금융소득(이자+배당)이 2,000만원에 가까워지면, 갑자기 세금 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아시나요?

국세청은 금융소득이 연 2,000만원을 초과하면 다른 소득(근로, 사업 등)과 합산하여 높은 누진세율(6% ~ 45%)을 적용합니다. 더 무서운 건, 소득세와 별개로 건강보험료까지 추가로 부과된다는 점입니다.

'어차피 배당받을 때 세금(15.4%) 떼고 들어오니 끝 아닌가?'라고 생각했다면, 2,000만원 이하일 때만 맞는 이야기입니다. 기준을 넘는 순간, 세금 계산 방식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종합과세 vs 분리과세: 무엇이 다른가?

금융소득이 연 2,000만원 이하라면 소득의 종류와 상관없이 15.4% 세율로 분리과세되어 납세가 종결됩니다. 하지만 2,000만원을 초과하는 금액은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구분종합과세 대상분리과세 대상
포함 소득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이자·배당소득 (2,000만원 초과분)
퇴직소득, 양도소득
이자·배당소득 (2,000만원 이하)
과세 방식모든 소득 합산하여 누진세율 적용다른 소득과 분리하여 개별 과세 (원천징수)
세율 특징소득이 높을수록 세율 증가 (6% ~ 45%)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고정 세율 적용 (15.4% 등)

비교과세: 더 많은 세금을 내게 하는 원리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이 되면, 정부는 세금을 더 걷기 위해 두 가지 방법으로 세금을 계산한 뒤 더 큰 금액을 실제 세금으로 결정합니다. 이것이 바로 '비교과세'의 핵심입니다.

구분방법 1: 기본세액 계산방법 2: 비교세액 계산
계산식(금융소득 2,000만원 초과분 + 다른 종합소득) × 누진세율
+ (금융소득 2,000만원 × 14%)
(다른 종합소득) × 누진세율
+ (전체 금융소득 × 14%)
최종 결정Max(기본세액, 비교세액) → 둘 중 더 큰 금액으로 과세

핵심 포인트: 이 비교과세 구조 때문에 다른 소득이 많은 고소득자는 물론, 다른 소득이 전혀 없는 투자자도 금융소득이 일정 수준(약 7,300만원)을 넘어가면 분리과세율(15.4%)보다 높은 실효세율을 부담하게 됩니다.


2024년 귀속 (2025년 신고) 소득세 과세표준 및 세율

과세표준누진세율누진공제액
1,400만원 이하6%-
1,400만원 초과 ~ 5,000만원 이하15%126만원
5,000만원 초과 ~ 8,800만원 이하24%576만원
8,800만원 초과 ~ 1억 5천만원 이하35%1,544만원
1억 5천만원 초과 ~ 3억원 이하38%1,994만원
3억원 초과 ~ 5억원 이하40%2,594만원
5억원 초과 ~ 10억원 이하42%3,594만원
10억원 초과45%6,594만원
※ 산출세액 = 과세표준 × 세율 - 누진공제액. 여기에 지방소득세(산출세액의 10%)가 추가됩니다.

국내 상장 해외 ETF 수익실현 시 세금이?

많은 투자자들이 국내 상장 해외 ETF의 매매차익이 비과세인 줄 알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세법상 '펀드'로 취급되어 매매차익과 분배금 모두 '배당소득'으로 과세되며, 금융소득종합과세에 합산됩니다.

ETF 구분매매차익 과세분배금(배당) 과세금융소득종합과세
국내상장 국내주식형 ETF비과세배당소득세(15.4%)분배금만 포함
국내상장 해외주식형 ETF배당소득세(15.4%)배당소득세(15.4%)둘 다 포함
해외상장 ETF (미국 등)양도소득세(22%)배당소득세(15.4%)매매차익 제외, 배당금만 포함

💡 대표적인 국내 상장 해외 ETF는?

미국 대표지수 추종 ETF:
  • TIGER 미국S&P500
  • KODEX 미국S&P500TR
  • TIGER 미국나스닥100
  • ACE 미국나스닥100
미국 배당성장 ETF:
  •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 SOL 미국배당다우존스(H)
  • ACE 미국배당다우존스

※ 위 ETF들에서 발생한 매매차익과 분배금은 모두 배당소득으로 과세됩니다.

결론: 세금 측면에서는 해외 투자를 할 때 국내 상장 해외 ETF보다 ISA 계좌를 통해 투자하거나, 해외 직접 투자를 통해 양도세(분류과세)를 내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ISA와 연금계좌 활용해서 세금 아끼기

금융소득종합과세와 건강보험료를 피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국가에서 세제 혜택을 주는 상품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입니다. 이 계좌에서 발생한 소득은 모두 종합소득 한도(2,000만원)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절세 상품연간 납입한도핵심 세제 혜택
ISA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2,000만원 (총 1억원)수익 200만원(서민형 400만원) 비과세
초과분 9.9% 분리과세
연금저축 + IRP1,800만원납입액 최대 900만원 세액공제
(소득 따라 13.2% 또는 16.5%)

자주 묻는 질문 (FAQ)


건강보험료도 오를 수 있다?

직장가입자는 급여 외 소득이 연 2,000만원을 넘을 경우, 지역가입자는 금융소득이 연 1,000만원 초과할 경우 건강보험료가 추가로 부과됩니다. 특히 은퇴 후 직장가입자인 자녀의 피부양자로 등재된 경우, 소득 2,000만원 초과(금융소득은 1,000만원 초과 시 소득에 합산) 시 피부양자 자격이 박탈되고 지역가입자로 강제 전환되어 매달 상당한 보험료를 내야 할 수 있습니다.

가입자 구분부과 기준2025년 보험료율
직장가입자연 2,000만원 초과분(급여 외 소득)약 8.0%
지역가입자금융소득 연 1,000만원 초과 시 소득에 합산약 8.0%
※ 위 요율은 건강보험료와 장기요양보험료를 합산한 소득월액보험료 기준이며, 매년 변동될 수 있습니다.

Key Point: ISA에서 발생된 비과세·분리과세 소득은 건보료 부과 대상에서 제외되므로 절세 계좌 활용이 더욱 중요합니다.


현명한 절세전략이 필요할 때 입니다

투자의 목표는 꾸준한 자산 증식과 현금흐름 창출입니다. 하지만 세금을 고려하지 않으면 실제 손에 쥐는 돈은 생각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현명한 투자자라면 투자 전략과 세금 전략을 함께 고민해야 합니다.

핵심 절세 전략 요약

  • 1순위: ISA 계좌를 최우선으로 활용하여 비과세 및 저율 분리과세 혜택을 받으세요.
  • 2순위: 연금계좌(연금저축, IRP)로 연말정산 세액공제와 과세이연 효과를 누리세요.
  • 3순위: 배우자, 성인 자녀에게 증여(10년간 배우자 6억, 성인자녀 5천만원 비과세)하여 소득을 분산하세요.
  • 매년 11월: 올해 금융소득을 중간 정산하고, 2,000만원(건보료 1,000만원) 초과 여부를 점검하여 포트폴리오를 조절하세요.

주의: 이 자료는 세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이며, 법적·세무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개인의 상황에 따라 세금 계산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중요한 의사결정 전에는 반드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현명한 세금 관리로 성공적인 투자 이어나가시길 바랍니다! 💰